김 남 진 / Kim Namjin




‘알’의 새로운 탄생
"김남진은 1959년 부산 생으로 부산대학교 미술교육과와 독일 뒤셀도르프국립예술대학을 졸업했다. 이 시기 그의 작품들은 형식면에서 두 시기로 나눌 수 있다. 캔버스위에 나무판을 붙이고 전기드릴로 형태를 파내는 단색조 부조회화의 특성이 강했던 초기 2002년에서 2006년까지의 작품들과 2007년 이후 강렬한 색조를 덧붙이는 특성을 가진 후기작품들로 나뉜다. 반면 전체적인 내용면에서는 사회적인 문제의식을 은유적으로 담아내고 있다. 그는 은하수, 신전, 원시림, 유적, 크루즈, 키즈랜드, 마천루, 신성한 샘, 황홀경 등 각 시리즈의 주제들이 퍼즐조각처럼 이어지고 채워져 마지막에는 하나의 커다란 메타포를 형성할 것이라고 말한다.“ 이 글은 나의 작품집 ‘On a Journey(여행자)’(2014)에 써준 출판회사 핵사곤 조기수 편집자의 머리말이다.
이전 사회적 풍경에서 시작된 문제의식은 이후, ‘미장션’시리즈(2016), ‘DNA 정원’시리즈(2018)로 이어졌으며, 이러한 흐름은 인간에 대하여 깊은 물음을 가지고 사유하는 ‘사피엔스’시리즈로 발전되어 궁극적으로 인간의 ‘문명’이라는 거대담론에 이르게 되었다. 한편 전기드릴을 사용하는 방법론에는 변함이 없지만, 색채에서는 ‘모델’시리즈를 통해 무겁고 진지한 주제와 반대로 화사한 색상으로 표현하여 아이러니한 대비를 보여주며 젊음과 늙음, 동적인 것과 정적인 것, 생성과 소멸에 대한 관심도 증폭시킨다.
이번 전시의 특징은 ‘알’이라는 주제의 재등장인데, ‘알’이라는 주제는 1990년대 후반부터 내가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1999년에 소품 몇 점을 제작하였지만 주제는 계속 이어지지 못하고 미완으로 남아있었다. 이제 사 다시 만난 이 주제, 생성 또는 시작 혹은 희망을 암시하는 ‘알’은 앞으로도 내 작업의 주제로 자주 등장할 것 같은 느낌이 든다.
내가 지켜보는 나는, 앞으로도 작업을 해 나감에 있어 어느 곳에 당도할지 나 자신도 알 수 없지만 이러한 사고의 변화에 몸을 싣고 따라 갈 것 같다.
- 작가노트 중 -
김남진 / Kim Namjin
경성대학교 대학원 문화기획ㆍ행정ㆍ이론학 박사 졸업 독일 마이스터 슐러 과정(MFA) 졸업 독일 뒤셀도르프국립예술대학 졸업 부산대학교 미술교육과 졸업
[ 개인전 ] 2021
갤러리 아트 숲, 부산 2018
미광화랑, 부산 2016
미광화랑, 부산 2014
미광화랑, 부산 2013
소울아트스페이스, 부산 2012
소울아트스페이스, 부산 2011
수가화랑, 부산 2010
소울아트스페이스, 부산 2009
동경시몬갤러리, 동경(일본) 북경WOW갤러리, 북경(중국) 2008
이듬갤러리, 부산 2007
마린갤러리, 부산 2006
‘오늘의 작가상’ 수상 기념전, 부산시청전시실, 부산 갤러리 라메르, 서울 2004
부산공간화랑, 부산 2003
김재선갤러리, 전경숙갤러리, 부산 2002
갤러리 라메르, 서울 2001
박여숙화랑, 서울 1998
성곡미술관, 서울 1995
박여숙화랑, 서울 1994
박여숙화랑, 서울 1993
갤러리 레스만&렌즈, 로트가아우(독일) 1992
갤러리 안드레아스 락크만, 보쿰(독일) 1991
스타트가르텐, 쾰른(독일) 1988
토탈미술관, 서울 1986
갤러리 댓, 대구 1985
사인화랑, 부산
[ 주요 기획 단체전 ] 2018
‘지극히 사적인’전, 부산시립미술관, 부산 2017
부산시립미술관 ‘2016 신 소장품展’, 부산시립미술관, 부산 2017
아트부산, 벡스코, 부산 2014
김남진, 정수옥 2인전, 갤러리 포토하우스, 서울 2008
성곡 내일의 작가들 1998-2007전, 성곡미술관, 서울 2006
부산비엔날레 현대미술전(cafe3), 부산 1999
아트에타주갤러리, 블라디보스톡(러시아) 1998
‘매체와 평면’전, 성곡미술관, 서울 ‘사실과 사실표현’展 부산시립미술관, 부산 1992
김남진, 베른트 패트리 2인전, 갤러리 울라좀머스, 뒤셀도르프(독일) 외 다수 [ 수상 ] 2021
제17회 송혜수 미술상 수상 2011
제23회 봉생 문화상(전시부문) 수상 2006
부산미협제정 제5회 ‘오늘의 작가상’ 본상 수상 [ 소장 ] 성곡미술관(서울)
부산시립미술관(부산)
삼성의료원(서울)
인천지방검찰청(인천)
파라다이스호텔(부산)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과천)
현대해상사옥(부산)
부산대학병원(부산)